건강 상식

인후염 편도염 차이 해부학 구조로 알아보기

근거중심 2024. 5. 26. 05:16

인후염 편도염은 각각 우리 몸 구조인 인후와 편도에 발생하는 염증을 뜻하는 질환입니다. 정확히 이 둘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인후염 편도염 차이에 대해 정확히 알아 보기전에 우리 몸의 구조인 인두, 후두, 편도에 관한 해부학적 지식에 대해 간단히 공부해보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두 후두 편도 해부학적 구조

 

인두 (Pharynx)란? 

코와 입 뒤에 위치하는 구조물로 식도 (Esophagus) 와 기도 (Trachea) 로 이어지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가 섭취한 음식과 들이마신 공기 모두 인두를 지나게 됩니다. 몸 깊숙하게 음식과 공기가 들어가기전 관문과 같은 역할을 하여 호흡과 소화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크게 비인두 (Nasopharynx), 구인두 (Oropharynx), 하인두 (Laryngopharynx) 로 나눌 수 있습니다.

 

후두 (Larynx)란?  

인두와 기도 사이에 있는 구조로 기관 위쪽에 위치하고 성대 (Vocal cord) 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후두에는 후두덮개 (Epiglottis) 가 있어서 음식물들이 기도로 들어가지 못하고 식도로만 들어갈 수 있는 역할도 합니다.

이 두가지 구조를 포함하여 우리는 인후두 (Laryngopharynx)’ 라고 부릅니다.

인두의 구조와 편도의 위치 :: 출처 국가정보암센터 www.cancer.go.kr

 

 

편도 (Tonsil)란?

인두에 위치한 림프계 구조물로 면역계의 일부로 입과 코를 통해 들어오는 여러 항원에 반응하여 항체를 만들어내는 기능합니다. 특히 소아청소년에게는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위입니다. 크게 인두편도 (아데노이드, adenoid), 구개편도 (Palatine tonsil), 설편도 (Lingual tonsil)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편도들의 배열이 입을 벌렸을때 동그랗게 보여 해부학자 발다이어 (Waldeyer)의 이름을 따 발다이어 편도고리 (환) (Waldeyer's tonsillar ring) 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정산인의 편도조직과 Waldayer 환 :: 출처 국가정보암센터 www.cancer.go.kr

 

인후염 편도염 차이

앞서 설명 드린 것처럼 인후두와 편도는 해부학적으로 완전히 같은 위치는 아닙니다 (편도가 인두안에 위치하긴 하지만요).

인후염 (인후두염) (Laryngopharyngitis)

인두 후두 부위에 발생한 염증을 의미하는 진단명이고 우리가 흔히 목감기라고 말하는 질환입니다.

인후염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염증반응으로 발열, 기침,가래, 목 통증, 삼킴 곤란과 같은 증상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아래의 사진처럼 인두부위게 붉게 올라온것을 육안으로 관찰 할 수 있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Pharyngitis#/media/File:Pharyngitis.jpg

편도염 (Tonsillitis)

편도에 발생한 염증을 의미하는 진단입니다. 그중에서도 주로 구개편도에 발생하는 염증을 의미합니다.

편도염도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할 수 있고 이 또한 발열, 목 통증, 편도선 부위의 부종 및 발적과 같은 증상을 발생 시킬 수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을 보면 정상 편도 (왼쪽) 에 비해 편도염 (오른쪽)이 발생한 경우 목젖이 붓고 (Swollen uvula), 편도가 빨갛게 부어 오르는 (Red wollen tonsils) 등의 증상을 관찰 할 수 있습니다.

https://www.healthdirect.gov.au/tonsillitis

인후염 편도염 치료

인후염과 편도염 둘다 치료는 비슷합니다. 일단 적절한 휴식을 취하고 통증을 줄이기 위한 진통제를 복용하고 세균성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이에 맞는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하여 치료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3~4일 정도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건강한 사람의 경우 증상이 좋아 질 수 있습니다. 특히 편도염이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경우 편도 절제술 (Tonsilectomy) 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인후염 편도염 차이에서 기억하고 가야할 것

지금까지 내용을 보면 쉽게 말해 인후염 편도염은 우리 몸 목 안쪽에 발생한 염증인데 만약 내가 반복적으로 목이 아파서 자주 의원과 병원을 드나드는데,

인후염이 아닌 편도염이 발생하는 만성 편도염 환자라면…!

이비인후과 의사 선생님과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이 편도염에 대해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지에 관해 이야기 해보실수 있겠죠. 왜냐하면 만성편도염의 경우 염증이 목 속 깊숙히 까지 퍼져 농양 등 다른 질환을 더욱 발생시킬 수 있는 확률이 다른 환자분들에 비해 높기 때문입니다.그래서 반복적으로 목이 아프신 증상이 발생하시는 경우 여러분은 이 차이에 대해 기억해두시면 더욱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목이 아픈 증상으로 의원이나 병원에 방문했을 때 여러분께서는 인후염이라는 진단명을 들을 때도 있고 편도염이라는 진단명을 들을 때도 있어 정확히 이 둘의 차이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셨던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이 글을 통해 인후염 편도염 차이를 기억하시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인후염 편도염에 대해 해부학적 구조를 기반으로 그 둘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유익한 정보가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